본문 바로가기

긍정심리학5

감정과 욕구(바람, 기대) 표현의 중요성 1. 감정과 욕구(바람, 기대) 표현Q. 왜 내 감정과 욕구(바람, 기대)를 표현하는 게 중요할까?사람들은 때론 내 감정에 대해, 내 욕구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곤 합니다. 내 감정에 대해, 내 욕구에 대해 알지 못하면 외부적인, 사회적인 차원에서는 원치 않은 다툼이 생길 수도 있고, 대인관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내부적인 차원에서는 나에 대해서 알지 못하니, 짜증이나 울분이 터져도 적절하게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짜증을 확 내거나 울음을 주체 못하는, 즉 내가 왜 그런지 모르는 상태가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들이 장기간 지속이 된다면 아무래도 개인 내적으로나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서도 어려움을 겪기 마련일 것입니다. 내 욕구를 알면, 내 감정도 알아차리게 됩니다. "욕구.. 2024. 9. 27.
[긍정심리학]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 (2) 2. 시사교양 TV 프로그램 내용   오늘의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 (1)>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앞선 포스팅은 긍정성의 중요성과 영향(목표 및 성과)에 대해 다뤘습니다. 오늘은 긍정성이 건강(면역성, 수명), 지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08월 26일 월요일, 유튜브에서 의학채널 ‘비온뒤’가 라이브 방송되었습니다. 해당 라이브에서는 20대보다 50대에 더 높은 긍정성,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라는 ‘긍정성’을 주제로 심리학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의학채널 ‘최희선 PD’ 님이 진행을 맡아주셨고, ‘곽금주 교수(서울대 심리학과)’ 님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주시기 위해 전문가로 참여하셨습니다.   전문가의 설명 1) 긍정성과 건.. 2024. 9. 3.
[긍정심리학]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 (1) 1. 오늘의 건강정보   오늘의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 웰빙과 긍정의 오해>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앞선 포스팅은 이해를 돕고자 개념적인 내용을 다뤘습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우리가 긍정성을 가지면 좋은 점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08월 26일 월요일, 유튜브에서 의학채널 ‘비온뒤’가 라이브 방송되었습니다. 해당 라이브에서는 20대보다 50대에 더 높은 긍정성,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라는 ‘긍정성’을 주제로 심리학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의학채널 ‘최희선 PD’ 님이 진행을 맡아주셨고, ‘곽금주 교수(서울대 심리학과)’ 님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주시기 위해 전문가로 참여하셨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1편과 2편으로 업로드됩니다.)   사례   라이브 방송 일부 참여자 분들의 사.. 2024. 9. 2.
[긍정심리학] 웰빙과 긍정의 오해 1. 오늘의 건강정보  이어지는 이슈! ‘웰빙과 긍정의 오해를 살펴보다!’ 지난 포스팅에서 내면의 근육, 긍정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본래 오늘은 유튜브 의학채널 ‘비온뒤’의 대보다 50대에 더 높은 긍정성, 긍정의 힘은 얼마나 강할까요?>를 다룰 예정이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연구기반의 설명이 많아, 배경지식이 있다면 다음 포스팅의 이해가 더 쉽게 되실 거라 여겨져, 오늘의 포스팅은 도서 ‘긍정심리학’에서 소개된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고자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다음의 포스팅 내용과 이어집니다.)   웰빙(Well-bing)의 심리학   웰빙이라는 단어, 이제는 익숙하실 겁니다. ‘잘 지내다, 안녕하다.’ 정도의 사전적 의미를 갖습니다. 심리학은 우울, 약물남용 혹은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적 문제.. 2024. 8. 30.
[긍정심리학] 내면의 근육, 긍정성 1. 오늘의 건강정보 오늘의 이슈! ‘내면의 근육, 긍정의 힘을 두드려라!’   마라톤을 하려면 근육이 필요하듯이, 인생의 마라톤을 하려면 마음의 근육이 필요합니다. 마음에도 근육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는 항상 좋은 일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힘든 일들이 생기고는 하죠. 이때 마음, 즉 내면의 근육이 단단한 사람들은 역경이 일어나도 잘 견디어 나가죠. 오늘의 포스팅은 ‘아침마당’에서 소개된 마음이 통(通)하는 긍정 심리> 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긍정심리학   많은 분들이 심리학 하면 심리적 장애(psychological disorder)를 연구하는 ‘이상심리학’이나 ‘임상심리학’을 떠올리실 겁니다. 이런 우울 같은 심리적 장애는 흔히 무력감이 특징적입니다. 이에 대한 치료(Th.. 2024. 8. 29.